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<기술적 분석> 이동평균선(Moving Average) - 주식 시장의 나침반

경제/기술적 분석

by 콜렉팁스 2023. 11. 15. 16:14

본문

이동평균선 썸네일

안녕하세요, 콜렉팁스입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많이 사용하는 캔들차트 보조지표인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이동평균선이란?

이동평균선은 주식이나 금융 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. (이미지: 이동평균선이 표시된 주식 차트)

이동평균선 표현된 캔틀 차트

이동평균의 계산 방법

단순 이동평균 (SMA)

이동평균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 예를 들어, 5일 단순 이동 평균(SMA)을 계산하려면 최근 5일간의 종가를 모두 더한 후 5로 나눕니다.

 

예시:

  • 최근 5일간의 종가가 각각 100, 102, 101, 103, 105라고 가정해 봅시다.
  • 이들을 모두 더하면 총합은 511입니다.
  • 511을 5로 나누면, 5일 SMA는 102.2가 됩니다.

코스피 캔들차트 이평선 표시 SMA

지수 이동평균 (EMA)

지수 이동 평균(EMA)은 최근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. EMA 계산 시 사용되는 가중치는 '2 / (기간수 + 1)'로 정합니다. 예를 들어, 5일 EMA의 경우 가중치는 '2 / (5 + 1)' 즉, 0.3333입니다.

 

예시:

  • 5일 EMA의 첫날은 단순히 첫날의 종가입니다.
  • 이후의 EMA는 '오늘의 종가 × 0.3333 + 어제의 EMA × (1 - 0.3333)'로 계산됩니다. 

이평선 표현된 코스피 캔들차트 SMA EMA 차이

이동평균선의 활용 방안 및 한계

추세 확인

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,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교차점 식별 -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

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교차하는 골든크로스는 강세 시장의 시작을, 하향 교차하는 데드크로스는 약세 시장의 시작을 나타내는 중요한 매매 신호로 간주됩니다. (이미지: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예시)

코스피 골든크로스 상승추세
코스피 데스크로스 후 하락 추세 차트

이동평균선의 한계

이동평균선은 과거 데이터에 기반하므로, 미래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. 또한, 가격 변동이 큰 시장에서는 신호가 늦거나 잘못된 추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결론

이동평균선은 시장의 추세를 이해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. 그러나,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이동평균선 개념을 표현한 이미지

관련글 더보기